대체 우리가 어떤 경기 지표를 확인을 해야 되고 이런 것들은 어디서 확인을 해야 되는지 제가 간단하게 정리를 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경제 초보를 위해 문제를 요약 정리해서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제 관련해서 대체 뭐부터 알아야 될지 너무 고민이 많이 되실 겁니다. 경제 메커니즘이 별거 없습니다. 물가가 금리에 영향을 주고 금리가 경기에 영향을 줍니다. 이 세 가지 단계에 대한 흐름만 하시면 여러분들이 웬만한 건 다 파악이 가능하실 건데 좀 더 쉽게 한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물가와 금리
물가란?
먼저 물가에 대해서 말씀 드려보겠습니다. 물가는 보통 물건의 가격이 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이렇게 생각하는 것보다, 물건의 가격을 통해 현재 현금의 가치가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cpu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조금 더 쉽게 설명을 드리자면 김밥 가격이 1000원에서 2000원으로 올리면 김밥이 2000원이 됐다가 아니라 원래 1000원으로 김밥 한 줄을 살 수 있었는데 1000원의 가치가 떨어져서 1000원으로 김밥 반줄 밖에 못 사는 상황을 "물가가 올랐다"라고 생각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
간단하게 용어를 좀 설명을 드려야 할 게 있습니다. 이제 물가가 상승한다는 것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하고 물가가 하락하는 상황을 '디플레이션'은 이라고 합니다. 좀 전은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했었는데,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것은 돈의 양이 시중에 많이 풀렸다는 뜻이고 그렇게 확장된 돈의 양이 확장 됐다는 게 , 인플레이션이라는 용어의 정확한 뜻입니다.
디플레이션은 반대겠죠? 시중에 풀려있는 돈이 줄어들었다를 디플레이션이 라고 합니다. 돈의 가치가 올라갔다 디플레이션이 오면 돈을 가지고만 있어도 돈의 가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아무도 소비를 안 하고도 가지고 있어야 할 겁니다. 그리고 세 번째로 물가상승 +경기침체를 우리가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이 정도 상식을 알면 좋을 것 같고 이런 말을 들어보셨을 수도 있습니다. 디플레이션 화폐라는 얘기를 들어보셨을 수도 있으실 텐데 아까 디플레이션이라고 하며 돈의 가치가 올라간다라고 우리가 해석을 할 수 있었습니다. 디플레이션 앞에는 그러니까 가지고 있으면 가치가 올라가는 화폐를 디플레이션 화폐 라고 합니다.
보통 금이나 비트코인 같은 게 있습니다. 수량에 한정이 되어 있어서 가지고만 있어도 가격이 계속 올라가는 겁니다. 가지고 있어서 가격이 계속 올라가면 사람들이 아무도 이걸 시장의 내놓으려 하지 않을 겁니다. 계속 가지고 있으려 만 하니까 소비가 위축이 됩니다.
소비가 위축이 되면 경제성장이 뎌디고 경기침체가 오기 때문에 정부는 이런 화폐를 싫어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의 화폐는 인플레이션을 화폐입니다. 가지고 있을수록 가치가 떨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계속 내 손에서 없어지는 게 더 났습니다. 소비를 계속해서 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겁니다. 그렇게 되다 보면은 경기가 좋아지고 경제가 발전하게 될 겁니다.
물가와 금리의 관계
두 번째로 물가와 금리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에서 물가란? 물건 가격이라 생각하기보다는 돈의 가치로 바꿔서 생각을 해 보시라고 했습니다. 아까 물가가 상승하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거고 물가가 떨어지면 돈의 가치가 올라 간다라고 생각을 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물가와 돈의 가치는 반대로 가겠죠?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돈의 가치라 하면 금리라고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금리가 올라간다는 건 돈의 가치가 올라간다는 뜻입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금리가 높아진다는 것은 은행에 돈을 맡기며 은행에서 돈을 더 준다는 얘깁니다. 그만큼 그 현금의 가치를 더 높게 봐준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은행이 왜냐하면 "나한테 현금 맡겨요 그럼 내가 이전 금리보다 더 높게 쳐줄게"라는 것은 훨씬 더 그 돈의 가치도 높게 봐준다는 뜻이 됩니다. 그러니까 결국에는 금리가 올라가는 것은 돈을 가치가 올라간다라고 생각을 하시는 게 훨씬 더 이해하기 쉬우실 겁니다. 다시 한번 보겠습니다. 금리를 인상한다는 거 돈의 가치를 올린다는 뜻과 같습니다.
그럼 결론은 물가가 올라가면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뜻이기 때문에 금리를 올려 돈의 가치를 억지로 올려야 합니다. 이게 물과 기름에 관계로 여기서 핵심은 물가가 오르면 금리가 오른다. 여러분들이 외워야 공식입니다. "물가가 오르면 금리가 그거에 맞춰서 올라갈 것이다"라고 생각을 하셔야 돼요.
그럼 왜 이런 공식이 성립이 되는지는 지금까지의 과정을 통해서 설명을 드렸습니다. 여러분들이 그런 핵심은 물가가 오르면 금리가 오르겠구나라고 예상을 하셔야 된다는 겁니다. 그럼 물가가 오르면 금리가 오르고 금리가 오르면 사람들이 소비를 안 하고 돈을 쥐고 있으려 할 겁니다. 아까 디플레이션 화폐를 설명드렸을 때도 제가 말씀드렸다시피 내가 돈을 가질수록 돈의 가치가 올라가면 사람들이 돈을 쥐고 있으려고만 합니다.
그럴수록 소비가 위축이 되는 거고. 소비 위축이 되면 경기가 안 좋아집니다. 소비가 위축되는 시장은 거래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아무도 투자를 안 하려고 하고 기업의 매출도 감소해지고 실업자도 나오고 그러면서 점점 더 경기가 위축이 되는 겁니다. 그렇게 되다 보면 바로 경기침체가 오는 겁니다. 물가로 시작을 해서 경제 흐름이 어떻게 흘러가는지를 잘 보시면 물가가 올라가면 은행금리가 올라가게 됩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소비가 위축이 됩니다. 그렇죠. 소비가 줄게 되면 경기가 침체, 경기침체로 인해 물건 가격이 다시 하락하기 시작합니다. 물건 가격이 하락했다는 것은 그만큼 돈의 가치가 올라갔다는 뜻이니까 그거에 대한 반동으로 금리가 다시 내려가는 겁니다. 금리가 내려가면 다시 소비가 촉진되고 기업 매출이 올라가고 다시 실업자가 줄어들고, 이런 선순환이 일어나기 때문에 경제가 발전한 하는 겁니다. 자, 여기까지가 이제 물가로 시작해서 대체 경제 흐름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아주 간략하게 설명을 드렸습니다.
우리가 평소에 확인해야 할 것들
다음으로는 대체 우리가 어떤 경기 지표를 확인을 해야 되고 이런 것들은 어디서 확인해야 되는지 간단하게 정리를 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이 알아야 할 경제지표는 일단 미국 소비자물가지수입니다. 우리가 물가로부터 확인해야 할 게 첫 번째로 물가를 확인하고 다음이 원자재 가격을 확인합니다. 원자재 가격은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이기 때문에 꼭 보셔야 합니다. 다음으로 특히 기름, 이렇게 3가지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미국 금리를 확인을 하셔야 되고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환율도 확인을 하셔서 미국이랑 환율을 비교해서 우리나라 환율이 계속 올라가며 당연히 우리나라의 물가가 올라가는 겁니다. 그렇게 되면 우리나라 물가가 올라가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금리도 올라갈 거고, 그에 따라 우리나라의 경제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여러분들은 이런 부분에 대해서 늘 주의 깊게 확인을 하셔야 됩니다.
지수에 대하여 어떻게 확인할 수 있냐면 그냥 단순하게 검색 사이트를 검색하시면 아주 잘 정리가 되어 있습니다. 네이버에 확인하셔도 되고 아니면 인베스팅 닷컴이라는 경제에 관련된 지표나 여러 가지 주식 정보까지 많은 정보들이 여기에 정리가 잘 되어 있습니다.
마무리
오늘은 경제를 잘 모르시는 분들이 시작을 어디서부터 하셔야 할지 막막하셨을 텐데 그것에 대한 출발을 물가에서 시작해서 한번 하는 걸 권해 드렸고, 이런 식으로 이제 조금씩 흐름을 아시다 보면 어려워지고 궁금해지는 부분이 하나씩 생길 때마다 거기에 관한 책을 읽어 보셔도 되고 아니면 검색사이트에 검색을 하셔서 그렇게 하나하나 정보를 축적하시는 걸 추천을 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생활정보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회생자 대출 가능한 곳! 2,3금융권부터 정부대출까지 이 글로 깔끔하게 걱정 해결하세요. (0) | 2023.11.30 |
---|---|
7월부터 마스크, 코로나 격리 해제 ‘완전한 일상 회복’ (0) | 2023.03.30 |
파킹통장이란? 개념 및 현시점 파킹통장 금리 비교 추천 (Feat. CMA, MMF) (1) | 2023.03.27 |
AI급변하는 시대를 살아야 할 우리의 자세 (0) | 2023.03.23 |
애플페이와 삼성페이 장단점 비교와 활용 (0) | 2023.03.21 |
댓글